과목별 대학입학지원 주요대학

[미국 교육이야기] 워드 사용법 제대로 모르면 밤샌다

전문가들은 학부 첫 해의 충격이 만만치 않다고 조언한다. 충격에 대비해서 여름방학에 준비할 몇가지를 정리해봤다. 시간도 많지 않다. 불과 두달 후면 새학기다.

▶수학=칼리지 수학은 AP Calculus BC와 차원이 다르다. 고교때 AP Calculus BC를 수강했었도 원리를 제대로 모르고 문제푸는 요령만 배워서 5점 받았으면 대학에서 그 코스를 다시 수강하는 것이 현명하다.

학부에서 반복하지 않고 그 다음 코스로 올라가고 싶다면 다음 코스인 다변수 미적분(Multivariable Calculus)을 미리 배우고 가야 한다. 물리를 비롯한 과학과목도 미리 예습이 필요하다. 대학 교재도 미리 구입해 살펴보라고 조언한다.

▶작문=학부에서는 글을 많이 쓴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그 자리에서 바로 글을 써낼 실력이 있어야 한다. 만약 미루면 과제가 많이 밀릴 수밖에 없다. 작문은 속도는 10배 심지어 100배까지 난다고 한다.100배 걸려 쓰는 사람의 글이 100배 낫지 않다. 오래 걸리는 이유는 머뭇거리기 때문이다.

또한 써놓은 결과도 빨리 쓴 사람보다 대부분 낫지도 않다.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스타일로 써내려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안되면 한 주제를 한 스타일이라도 쓸 수라도 있어야 한다.

만약 대입지원 에세이를 타인의 도움으로 제출했다면 그 에세이에 필적하는 작문력을 길러야 한다.

▶독서=선택할 과목에서 읽으라고 지정한 책을 미리 읽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운영실력= MS워드를 능숙히 사용해야 한다. 또한 파워포인트도 제대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의외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했다면 나중에 밤새 편집하는 고통을 당할 수 있다. 부모만 그런 것이 아니고 컴퓨터 세대라는 자녀들도 그럴 수 있다.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실력이 필요하다. 말도 안되는 문제를 줘도 풀 수 있어야 한다. 프로그래밍은 이제 더 이상 이과생들만의 필수 과목이 아니다.

장병희 기자

/////////////////////////////////////////////////////////////////////////////////////////////

이 기사는 LA중앙일보 2016년 6월9일 A-6면에 게재됐던 내용을, 필요한 경우 수정/보완하여 포스팅한 것입니다. 기사와 관련하여 문의하고 싶은 것이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거나 이메일로 알려 주시면 올바른 해답을 함께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집팀–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