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 UC CSU 등 주립대학의 합격 통보가 이루어진다. 사립대학도 빠르면 2월부터 합격 통보를 시작한다.
– 봄방학을 이용해 합격 통지를 받은 대학을 직접 방문해보도록 한다. 특히 1, 2지망 대학은 반드시 직접 방문한 후에 입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당 음식이 맞지 않는다거나 기숙사 분위기가 너무 개방적이라는 등의 사소한 문제가 때로는 대학 생활을 어렵게 하는 심각한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4월
– 사립 대학 정기 지원 대학 합격 통지서가 오기 시작한다. 아울러 각 대학의 ‘학비 계획 패키지’가 전달된다. 꼼꼼히 읽어보도록 한다. 4월 초까지 학비 패키지가 도착하지 않으면 대학에 전화해 확인한다.
– 그동안 합격 통지를 받은 대학들 가운데 최종적으로 1개의 대학을 선택해야 하는 때다. 합격한 학생을 위해 대학에서 개최하는 행사에 빠짐없이 참여하도록 한다.
– 대기자 명단에 올라있는 학생은 재학 중인 학교의 칼리지 카운슬러나 혹은 지원 과정에서 도움을 받은 전문 카운슬러와 함께 옵션에 관해 논의하도록 한다. 특히 UC도 대기자 제도를 시행하기 때문에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최종적으로 가고자 하는 대학이 결정되었으면 진학 의사(intention to register)가 있음을 알린다. 모든 대학이 5월 1일까지는 최종 결정을 마감한다. 이때 디파짓도 제때 보내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디파짓이 늦어질 경우에는 입학 허가 자체가 문제될 수 있다.
◇5월
– 마침내 앞으로 4년을 보낼 대학이 결정됐다. 이젠 대학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 AP시험이 있는 달이다. 5월의 첫째와 둘째주가 시험일이다. 응시 후에는 AP점수가 대학에 전달되었는지 확인한다.
– 곧 학기말 시험(final exam)이 시작된다. 긴장의 끈을 늦추지 말고 시험 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사실 대학 측의 합격통지서는 12학년 2학기 성적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있음을 잊지 말자.
– 기숙사나 아파트 등 신입생 때 선호하는 주거 시설을 기록하는 서류(housing-preference forms)를 작성해 대학에 보낸다.
– 대기자 명단에 올라있는 학생은 합격증을 받아든 학생들이 실제 등록 의사를 표시하는 마감일인 5월 1일이 지나면 합격률과 등록률의 갭을 채우기 위해 대기자 명단을 발송하므로 대기자 중 몇 명이 합격자 대열에 합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6월
– 고교 카운슬러에게 2학기 성적표를 진학할 대학에 보냈는 지 확인한다.
-대학에 체육 특기생으로 합격해서 디비전Ⅰ이나 디비젼Ⅱ에서 경쟁해야 한다면 고교 카운슬러가 최종 성적을 NCAA Initial Eligibility Clearinghouse에 보냈는지 확인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ncaa clearinghouse.net에서 얻을 수 있다.
◇7월~8월
– 대학에 갈 교통편을 마련한다. 특히 장거리에 위치한 대학일 경우 일찍 예약해야 항공료를 절약할 수 있다.
– 대다수의 대학이 입학한 첫해는 기숙사에 거주할 것을 의무화 하지만 그렇지 않은 대학의 경우 다양한 주거 옵션을 살펴본다. 또 기숙사에 거주할 경우 룸메이트로 정해진 사람과 연락을 취해본다.
– 강의 캐털로그나 학생 핸드북을 살펴보고 수강할 강의에 대한 준비를 한다.
– 온라인으로 들어가 입학할 대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접한다. 캠퍼스에서 벌어질 행사 음악회 게임들의 티켓을 미리 구입해 놓는 것도 요령이다.
– 백투스쿨 샤핑을 시작한다. 기숙사 생활에 필요한 필수품을 미리 챙겨놓는다. 웹사이트에 가면 대학에서의 독립 생활을 시작할 때 필요한 물품 목록을 찾아볼 수 있다. 대학에 가서 구입할 수 있는 물품은 제외시켜야 이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 새 은행구좌를 개설한다.
– 장거리 전화가 무료인 셀폰 플랜에 가입한다. 멀리 떨어진 대학에서 집으로 전화할 것도 고려하고 캠퍼스 내에서 친구들과 통화할 것도 감안해서 비용이 저렴한 플랜에 가입하도록 한다.
– 건강보험의 옵션을 챙긴다. 부모 보험으로 되는지 학교 자체 의료보험으로 커버되는지 지역마다 학교마다 가족마다 필요가 다르므로 개인적인 별도의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 수강할 강의를 선택하고 자신을 가르칠 교수와 미리 연락을 해서 라인을 연결해 놓을 필요도 있다.
– 마지막으로 대학 오리엔테이션에 반드시 참석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