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미국 대학을 봤을때, 4년제 입학생중 44%이하만이 4년만에 졸업한다고 한다. 평균이지만 대학 통계중 6년만에 졸업하는 것이 따로 집계될 정도라면 4년만에 졸업하는 자녀는 정말 효자효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적당한 이유가 있어서 1년 쯤 더 다니는 것은 참을 만하다.
대학 5학년을 피하는 방법을 전문가들에게 들어봤다. 우선, 신입생때부터 이미 통달한(?) 과목의 크레딧을 꼭 챙겨야 한다. 고교시절 들었던 커뮤니티칼리지 과목이나 AP과목의 성적을 인정해준다. 아니면 칼리지보드에서 운영하는 CLEP프로그램 시험을 통해 학점을 챙기는 것도 방법이다.
둘째, 학기당 15학점은 들어라. 풀타임학생은 학기당 12학점만 들어도 된다. 하지만 시메스터당 15학점은 챙겨야 좋다. 왜냐하면 120학점 이상을 요구하는 대학도 있고 공대나 건축학의 경우 5년을 전제로 설계된 전공도 있으므로 가능할 때 많이 들어둬야 좋다.
셋째, 전공을 가급적 빨리 정해라. 전공을 몇번 바꾸면 4년내 졸업은 힘들어진다. 2학년 마칠 때까지 전공을 선택하라고 대학들은 조언하지만 1학년 마치고 전공을 정해야 좋다. 일단 전공이 정해지면 교내 어드바이저가 4년만에 졸업할 수 있도록 과목 일정을 계획해준다. 만약 언디사이디드 학생이면 전공 결정전에 교내 교양 및 교내 필수 과목을 많이 들어두는 것이 맞다.
넷째, 편입을 했다면, 이미 취득한 학점도 꼭 가지고 가라. 그리고 첫번째 학교에서 작성한 에세이나 테스트 결과도 챙겨라.
다섯째, 재수강을 피하라. 공부를 시작할때, 영어와 수학 배치 시험을 보는게 좋다. 만약 통과하지 못하면 그에 맞는 수업을 들어야 한다. 학위와는 관련이 없지만 학비는 내야 하기에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C나 D를 받으면 GPA를 올리기 위해서 재수강을 해야 한다. 이는 시간낭비다. 처음으로 수업을 들을때 교내 튜터링 센터라도 이용해서 철저하게 공부해서 재수강을 피해라.
장병희 기자
/////////////////////////////////////////////////////////////////////////////////////////////
이 기사는 LA중앙일보 2016년 6월23일 A-6면에 게재됐던 내용을, 필요한 경우 수정/보완하여 포스팅한 것입니다. 기사와 관련하여 문의하고 싶은 것이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거나 이메일로 알려 주시면 올바른 해답을 함께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집팀–
/////////////////////////////////////////////////////////////////////////////////////////////